세계유산축전과 경주역사유적지구를 소개합니다.
세계유산이란?
문화유산, 자연유산 그리고 문화와 자연의 가치를 담은 복합유산
세계유산은 1972년 유네스코(UNESCO,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에 의거하여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 유산을 지칭합니다.
인류의 보편적이고 뛰어난 가치를 지닌 각국의 부동산 유산이 등재되는 세계유산의 종류에는 문화유산,
자연유산 그리고 문화와 자연의 가치를 함께 담고 있는 복합유산이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세계유산은 현재 총 17건으로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경주역사유적지구
등이 등재되어 있습니다.
세계유산축전이란?
세계유산축전은 국가유산청과 국가유산진흥원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국내 세계유산의 가치와 의미를
내·외국인들에게 알리고자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국가유산청의 공모를 통해서 국내 소재 유네스코 세계유산 중 축전 개최지를 선정하여,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의 서원,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백제역사유적지구, 수원화성, 안동, 영주, 경주, 순천 등의 세계유산에서 축전이 진행되었습니다.
2025년 올해 세계유산축전은 전북 고창(고인돌 유적·한국의 갯벌), 경북 경주(경주역사유적지구), 전남 순천(산사, 한국의
산지승원·한국의 갯벌), 제주에서 열리며, 각 지역의 세계유산을 다양한 공연과 프로그램을 통해 만나볼 수 있습니다.
2025 세계유산축전 in 경주역사유적지구
행사 주제
천년의 빛, 세대의 공존
경주역사유적지구란?
경주역사유적지구(Gyeongju Historic Areas)는 신라천년(B.C 57 - A.D 935)의 고도(古都)인 경주의 역사와
문화를 고스란히 담고있는 불교유적, 왕경(王京)유적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이미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일본의 교토, 나라의 역사유적과 비교하여 유적의 밀집도, 다양성이 더 뛰어난 유적으로 평가됩니다.
2000년 12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경주역사유적지구는 신라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유산이 산재해 있는 종합역사지구로서 유적의 성격에 따라 모두 5개 지구로 나누어져 있는데 불교미술의 보고인 남산지구, 천년왕조의 궁궐터인 월성지구, 신라 왕을 비롯한 고분군 분포지역인 대릉원지구, 신라불교의 정수인 황룡사지구, 왕경 방어시설의 핵심인
산성지구로 구분되어 있으며 52개의 지정문화재가 세계유산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경주역사유적지구 살펴보기
유적 지구를 클릭해보세요. 관련된 이미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황남리고분군
경주노동리고분군
경주노서리고분군
경주 오릉
경주 동부 사적지대
경주 재매정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경주 황룡사지
경주 계림
경주 월성
경주 동궁과 월지
경주 첨성대
경주 미추왕릉
경주 명활성
경주 남산 천룡사지 삼층석탑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남간사지석정
경주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경주남산칠불암마애석불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삼릉계곡마애관음보살상
삼릉계곡선각육존불
남산입곡석불두
경주침식곡석불좌상
경주열암곡석불좌상
경주약수계곡마애입불상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
삼릉계곡선각여래좌상
경주배리윤을곡마애불좌상
경주 배동 삼릉
경주 일성왕릉
경주 정강왕릉
경주 지마왕릉
경주 경애왕릉
경주 포석정지
경주 남산신성
경주 서출지
경주 나정
경주남산동석조감실
백운대마애불입상
보리사마애석불
경주 남산 일원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경주 내물왕릉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